리모델링 중인 구축(기축) 다세대주택에 공동현관 로비폰(DRC-7M(B) L/RF1, 코맥스) 설치를 위한 기초작업 및 데드볼트(DEAD-BOLT)+퇴실 버튼 설치 - 라인시스템
안녕하세요 ^^
라인시스템입니다~
화창한 목요일에는
리모델링 중인 구축(기축) 다세대주택에
비디오폰을
설치하러 다녀왔습니다 ^^
작업을 시작하기 전에
현재 상태를 촬영한 사진입니다~
비디오폰을 설치한다고 했는데,
왜 공동현관 로비를 촬영했는지
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을 거 같은데
그 부분은 조만간 아시게 될 거예요 ㅋㅋㅋ
라임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UTP 케이블이
세대 거실에 있는 곳과
연결된 UTP 케이블입니다~
공동현관 로비에 설치할 로비폰과
세대 내에 설치할 비디오폰과
연결을 하기 위해
포설한 케이블이라고
보시면 됩니다 ^^
쫄대(몰드)를 벽에 부착을 한 후,
실리콘으로 마감을 하기 전에 사진을 찍었어요 ^^
빨간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부분은
로비폰(LOBBY PHONE)과 데드볼트(DEAD-BOLT)에
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부분입니다~
옥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부분은
로비폰(LOBBY PHONE)과
세대 내에 설치할 비디오폰과 연결을 하기 위한
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부분입니다 ^^
노란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쪽으로
케이블이 포설 되어
공동현관에 있는 각각의 장치로 케이블이 포설 될 예정입니다 ㅋㅋㅋ
쫄대(몰드)에
실리콘 작업을 진행 한 후에,
공동현관 로비 바깥쪽으로 나와서 작업을 했어요~
코맥스 로비폰 방우 커버(노란색 화살표)를
설치하기 위한 위치(옥색 화살표)를 표시(빨간색 사각 테두리) 했어요 ^^
빨간색 사각 테두리 안에는
5군데에 타공할 위치가
표시되어 있습니다~
이제 케이블을
포설해야겠지요 ㅋㅋㅋ
보라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케이블이
파란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곳을 경유하여
핑크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곳까지
포설이 되었어요~
쫄대(몰드)를 부착하고
주변에 실리콘으로
마감한 부분이 다 건조가 되면
본격적으로
케이블을 두 곳의 목적지까지 포설을 해야 합니다 ^^
주황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케이블은
로비폰(LOBBY PHONE)에서부터
포설해온 케이블과
퇴실 버튼(터치스위치, SM-EB30, 옥색 화살표)과
연결된 케이블입니다 ^^
퇴실 버튼(터치스위치, SM-EB30)과 연결된 케이블은
노란색 화살표가 가리키는
타공된 구멍으로 들어가서
주황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케이블 주위에 있어요 ^^
오른쪽 사진을 보시면
퇴실 버튼(터치스위치, SM-EB30, 초록색 화살표)을
설치 마무리했어요 ^^
이제 웬만큼 건조가 되었으니까
케이블을 포설해 볼까요?
로비폰(LOBBY PHONE)에서부터
포설해온 케이블 중에
세대 내 비디오폰과 연결할
UTP 케이블을 포설해서
빨간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곳으로 해서
전화 단자함으로 들어갔습니다~
이제
라임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UTP 케이블과
연결을 하면 ㅋㅋㅋ
노란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곳으로
포설한 케이블을
외벽 바깥쪽(핑크색 화살표)으로 걷어낸 후에,
로비폰(LOBBY PHONE)이 설치될 곳 위에
타일을 마감하지 않은 곳으로
함마 드릴을 사용하여
실내로 관통하는
타공 작업을 진행해서
그 구멍으로
포설한 케이블(라임색 화살표)입니다~
그럼 바깥쪽 모습을 보실까요?
빨간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곳을
함마 드릴로
타공 작업을 해서
실내로 연결되는 터널(타공 작업)을 뚫었어요~
오른쪽
쓰레기통(주황색 화살표) 에는
케이블을 포설하고 걷어낸 쫄대(몰드) 뚜껑들이 쌓여 있네요 ㅋㅋㅋ
아까는
케이블이 서로 얽혀있어서
말씀을 드리지 못했는데
옥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케이블이
데드볼트(DEAD-BOLT)와 결선할 케이블입니다 ㅋㅋㅋ
맛있는 점심을 먹고
현장에 다시 도착했어요~
황금색 화살표가
가리키는 곳에
타공 작업을 하기 위해
필요한 공구(노란색 화살표)를 준비하고
잠깐 멀리 서서
또 가까이에서
촬영을 했어요 ^^
코맥스 로비폰 방우 커버를 거치하기 위해
나사를 고정할 위치에
타공 작업을 진행하고
칼 블록 설치까지 마무리했습니다~
로비폰(LOBBY PHONE)이 사용할 케이블을 꺼내서
케이블 타이로 마무리를 했어요 ^^
코맥스 로비폰 방우 커버를 설치하고 포설한 케이블을
다세대주택에 코맥스 공동현관 로비폰(DRC-7M(B) L/RF1, COMMAX)과 연결할
하네스 케이블과
결선 작업을 한 후,
마무리를 할 수도 있지만,
타일 작업이
마무리되지 않아서,
자칫 오염될 수 있어서
여기까지만 진행했어요~
이제
데드볼트(DEAD-BOLT) 설치를 하려고요 ㅋ
데드볼트(DEAD-BOLT) 비닐 지번을 부착(보라색 화살표) 하고,
강화유리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부착한 비닐 지번(노란색 화살표)의 위치를 확인하고 있습니다~
이곳은 완전 매립의 형태로
데드볼트(DEAD-BOLT) 설치를 진행해야 하는 현장이네요 ㅋ
그래서 두 곳(빨간색 화살표)에만
타공 작업을 진행했어요~
데드볼트(DEAD-BOLT)를 매립할 공간도
절삭 작업을 마무리했습니다~
데드볼트(DEAD-BOLT)와 결선할 케이블을
포설할 수 있도록 12mm로 타공 작업을 진행했어요~
방금 타공 작업을 한 곳으로
케이블을 포설했어요~
방금 포설한 케이블과
데드볼트(DEAD-BOLT) 하네스 케이블과
결선 작업(옥색 화살표)을 진행했어요~
설치작업을 완료한 데드볼트(DEAD-BOLT)를
실내에서 한 번, 실외에서 한 번 이렇게 촬영을 하고
출입문을 닫은 상태에서
실외에서 한 번, 실내에서 한 번 이렇게 촬영을 했답니다 ^^
라임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케이블이
로비폰(LOBBY PHONE)에서 포설해온 케이블인데
실내의 두 곳의 목적지로 포설이 되었다가 다시 떼어낸 케이블인데요 ㅋㅋㅋㅋ
보라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곳 아래로 해서
두 곳의 목적지까지 까대기를 한 후,
CD 관을 매립한 다음 양생 작업을 해서
다시 말해 노출이 아닌 매립의 방법으로 하기로 하셔서
케이블을 여기까지만 포설을 했어요 ㅋㅋㅋ
이제 1층에서 할 작업은
다음 공정을 진행한 다음에 진행을 해야 해서
여기까지 하고 마무리했어요 ^^
로비폰(LOBBY PHONE) 측면 좌/우 사진과
전면 그리고 실내에서 로비를 바라보며 촬영한 사진입니다~
이제 3층으로 올라가서
세대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^^
이 부분은 조만간 포스팅을 하도록 할게요~
가산디지털단지와
구로디지털단지 인근에
위치하고 있습니다.
팔도 어디든,
출장이 가능하지만
주로 작업하는 무대는
서울을 포함하여
경기도 전 지역에서
작업을 하고 있습니다~
언제든지 불러주시면
후~~~~~~~~딱
달려가겠습니다 ^^