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상문자동개폐장치

양천구 소재 요양병원, 세 번째 장소에 비상문 자동개폐장치(SD-7000, 한양종합방재) 설치 - 라인시스템

블루스카이 0072 2021. 1. 31. 08:12

L

안녕하세요 ^^

라인시스템입니다~

세 번째 장소는

다른 세 군데 장소와는 다르게

자동문에

비상문 자동개폐장치(SD-7000, 한양종합방재)를 설치하는 내용입니다~

전면에 보이는 자동문 왼쪽을 보시면

케이블이 하나가 천정 점검구를 통해 늘어져 있는데,

두 번째 장소에 설치한

비상문 자동개폐장치(SD-7000, 한양종합방재)와 연결된 케이블(소방 신호, 화재신호)이 바로 노란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케이블입니다 ^^

세 번째 장소에도

비상문 자동개폐장치(SD-7000, 한양종합방재)를 설치하면서

소방 신호(화재신호) 케이블을 포설해야 하는데,

노란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케이블과 함께

지구 경종(소화전)으로 포설을 진행하기 위한 것입니다~

지금은 소방 신호(화재신호) 케이블을 뒤로 한 채

자동문만을 촬영한 것입니다 ^^

라임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위치에

비상문 자동개폐장치(SD-7000, 한양종합방재)를 설치할 예정이고

이곳에서도 소방 신호(화재신호) 케이블 한 가닥이 포설 되어 두 번째 장소에서 포설해온 케이블과 만나서 지구 경종(소화전)으로 포설 작업을 진행해야 해요~

비상문 자동개폐장치(SD-7000, 한양종합방재)와 연결할 케이블을 매립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벽을 뚫고 내부를 확인해 보니 빨간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으로 두꺼운 철판이 있네요 ㅋㅋㅋ

철판이 없다면 노란색 화살표로 바로 액세스를 할 수 있고,

내부가 비어있는 옥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해서 자동문 컨트롤러까지 바로 통하는 길이 나오거든요 ㅋㅋㅋ

그래서 이곳은 노출로 작업을 했어요~

자동문을 제어할 목적으로 설치한,

비상문 자동개폐장치(SD-7000, 한양종합방재)와 연결할 케이블을 3가닥 중에

화재신호(소방 신호) 케이블은

부득이 쫄대(몰드, 보라색 화살표)를 통해서 포설 작업을 했고,

220V 전원과 접점 작업에 사용할 케이블 두 가닥(주황색 화살표)은

매립으로 진행을 했습니다~

 

비상문 자동개폐장치(SD-7000, 한양종합방재)와 연결된 케이블 중 두 가닥 중 한 가닥은 자동문 접점과 연결(옥색 화살표)을 했어요~

 

나머지 한 가닥의 케이블은 빨간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을 지나,

자동문에 트랜스 1차 측과 결선 작업(황금색 화살표)을 한 후,

케이블 타이로 단단하게 묶는 작업(옥색 화살표)을 하고 나서

라임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곳에 밀어 넣었어요~

자동문 어댑터가 있는 곳이 라임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입니다 ^^

자동문 전원 1차 측에 연결을 했으니, 자동문은 전원을 ON 할 필요 없이

비상문 자동개폐장치(SD-7000, 한양종합방재) 함체를 열어서 스위치를 올렸어요~

분홍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것처럼 전원이 켜진 것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^^

주황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케이블은 2번째 장소와 3번째 장소에서 포설해온 소방 신호(화재신호) 케이블입니다~

이제 모든 과장을 마쳤고, 자동문 전원을 ON 해서 작동 유무를 테스트해야겠지요?

바닥에 걸쳐놓은 자동문 커버(황금색 화살표)를 닫으면 마무리되네요 ^^

 

2번째 장소와 3번째 장소에서 포설해온 소방 신호(화재신호) 케이블(노란색 화살표)을 점검 후 위로 올려놓기 위해 사다리를 가져다 놓았어요~

같은 장소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촬영했어요 ^^

 

 

설치 작업을 완료한

비상문 자동개폐장치(SD-7000, 한양종합방재)의 모습입니다 ^^

가산디지털단지와

구로디지털단지 인근에

위치하고 있습니다.

팔도 어디든,

출장이 가능하지만

주로 작업하는 무대는

서울을 포함하여

경기도 전 지역에서

작업을 하고 있습니다~

언제든지 불러주시면

후~~~~~~~~딱

달려가겠습니다 ^^